Sufjan Stevens – America
에세이 영화의 좌표
앨런 세큘라 Allan Sekula와 노엘 버치Noël Burch의 잊혀진 공간 The Forgotten Space(2010)이 공개되었을 때, 노엘 버치는 이 영화의 공식 사이트에 흥미로운 노트를 기고하였다. 노트의 제목은 “에세이영화”이다. 그는 그 글에서 에세이영화란 관념을 가장 먼저 고안했던 인물로 자처한다. (그러나 영화이론가들은 에세이영화란 용어를 발명한 최초의 인물로서의 역할을 수여할 인물로서 한스 리히터(Hans Richter)를 꼽는다. 1940년 한스 리히터는 “영화 에세이: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형식(The Fim Essay: A New type of documentary film)”를 발표하였다. 이 글은 다음의 에세이영화 비평 모음집에 수록되어 있다. Nora M. Alter and Timothy Corrigan eds. Essays on the essay fil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
그간 쏟아져 나온 많은 에세이영화에 관한 저작들 역시 에세이영화란 관념을 제안한 초기의 개척자 가운데 한 명으로 노엘 버치를 꼽는데 인색하지 않는다. (노엘 버치의 에세이 영화론이 에세이 영화를 선구하는 이론적 선언이었음을 강조하는 것은 에세이 영화에 대한 거의 모든 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들을 보라. Elizabeth A. Papazian and Caroline Eades eds. The essay film: dialogue, politics, utopia, London & New York: Wallflower Press, 2016. Laura Rascaroli, How the Essay Film Think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Nora M. Alter, The essay film after fact and fic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 Nora M. Alter and Timothy Corrigan eds. op. cit.)
영화이론가이자 감독으로서 또는 영화 교육자로서 그의 경력에 익숙한 이들에겐, 그와 세큘라의 공동 작업에 관해 일종의 비평적 주해를 추가한다고 해서 그를 엉뚱한 일로 여기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잊혀진 공간을 에세이영화로 분류하려는 선제적인 조처라면 이는 도발적인 주장으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에세이 영화를 둘러싼 토론에 늘 따라붙는 다큐멘터리인가 에세이 영화인가란 성가신 논쟁을 다시 끄집어내기 때문이다.